[그래픽뉴스] 골목상권<br /><br />코로나19 이후 우리 일상에는 많은 변화가 생겼죠.<br /><br />일상이 달라지면서 소비 패턴이 바뀐 분들 적지 않으실 겁니다.<br /><br />이는 결국 상권의 변화로까지 이어졌는데, 그 변화를 보여주는 빅데이터 결과가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오늘의 그래픽 뉴스, 입니다.<br /><br />서울시는 상권의 영역을 골목상권, 발달상권, 전통시장상권, 관광특구상권으로 구분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이중 골목상권은 대로변이 아닌 거주지 안의 좁은 도로를 따라 형성되는 상가 밀집 지역을 의미합니다.<br /><br />서울시가 코로나19 이전과 이후, 서울 시내 1,009개 골목상권의 매출 변화를 빅데이터로 분석했는데요.<br /><br />코로나 이전과 비교한 골목상권의 총매출, 약 2조 원에서 1조6천억 원으로 20% 가까이 줄었습니다.<br /><br />월평균 점포당 매출도 1천9백만 원에서 1천7백만 원으로 13.8% 감소했는데요.<br /><br />전반적으로는 감소했지만, 희비가 엇갈렸습니다.<br /><br />골목상권 10곳 중 6곳은 매출이 크게 하락한 반면, 4곳은 매출이 상승했거나 유지된 겁니다.<br /><br />해당 상권을 지도에 표시해봤는데요.<br /><br />마포, 종로, 용산 등 '도심에 있는 골목상권'은 평균 매출액이 25% 가까이 감소한 '충격 골목상권'에 속했고, 은평, 양천, 금천 등 '외곽에 위치해 주거지, 생활권에 가까운 골목상권'은 코로나19에도 매출이 8% 넘게 증가한 이른바, '선방 골목상권'에 속했습니다.<br /><br />사회적 거리두리와 재택근무 확산으로 도심보다는 동네에 있는 골목상권에서 소비가 더 활발하게 이뤄진 결과입니다.<br /><br />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코로나19에도 선방한 서울 외곽의 골목상권은 소매업의 비중이 높았는데요.<br /><br />집에 있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중고가구, 조명 용품 등 집을 꾸미기 위한 수요가 증가하고, 집밥을 먹기 위해 식자재 구입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반면 코로나19의 충격을 그대로 받은 도심의 골목상권은 외식업의 비중이 높았는데요.<br /><br />집에서 일하고 회식을 자제하는 분위기에서 직장인 중심의 외식 소비가 줄어든 현실을 반영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한편, 구둣방 수가 점점 감소하고 있는 것도 눈에 띕니다.<br /><br />도심 상권의 위축과 함께, 정장을 입고서도 편한 신발을 즐기는 젊은 직장인들의 세태를 알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이 같은 감소세는 코로나19로 인한 재택근무 증가로 인해 더욱 가팔라질 것으로 전망됩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가 불러온 상권의 변화, 면밀한 분석을 통해 위기에 빠진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지원하는 밑바탕이 돼야겠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그래픽 뉴스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